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배경
1. 시민사회의 문제해결자 역할이 필요한 시대
2. 한국사회의 발전 경험
3. 정부의 국정과제가 된 사회혁신
제2절 연구목적 및 내용
1.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내용
제3절 연구방법
1. 문헌조사
2. 근거이론
3. 해외 전문가 인터뷰
제2장 시민주도 사회문제 해결의 중요성
제1절 시민참여와 시민주도 문제해결
제2절 시민참여의 사회적 편익과 비용
1. 시민참여의 사회적 편익
2. 시민참여의 사회적 비용
제3절 시민주도 문제해결의 필요성
1. 시민참여의 순기능 구현
2. 시민참여의 부작용 완화
제3장 시민주도 문제해결의 모델
제1절 시민주도 문제해결의 다양한 주체들
1. 시민사회단체의 정의
2. 중앙단위 시민사회단체와 지역기반 시민사회단체
제2절 시민주도 문제해결의 모델
1. 시민주도의 개념 정의
2. 시민주도 문제해결에 적합한 단위
3. 시민주도 문제해결의 4가지 모델
제3절 시민사회 역량 강화 필요성
1. 한국이 추구해야 할 시민주도 문제해결의 모델
2. 시민사회의 역량 강화 필요성
제4장 시민주도 문제해결 사례 분석
제1절 사례선정의 이유와 분석틀
1. 사례 분석의 필요성
2. 해외사례의 선정
제2절 국내 사례
1. 성북구 장수마을 주거환경개선사업
2. 신림동 고시촌 지역의 공간재생사업
제3절 미국 사례
1. 지역사회개발법인(CDC) 현황
2. 블룸필드-가필드법인(BGC)
3. 오클랜드계획개발법인(OPDC)
4. 이스트리버티개발법인(ELDI)
5. 피츠버그재투자그룹(PCRG)
6. CDC의 성과
제4절 일본 사례
1. 청소년취로지원네트워크 시즈오카
2. 무사시노프레이스 시민활동단체
3. 요코하마시 共創 프로젝트
제5절 소결
1. 미국의 시민주도 문제해결
2. 일본의 시민주도 문제해결
3. 한·미·일 비교
제5장 문제해결형 시민사회 역량 분석
제1절 시민사회역량의 개념과 구성요소
1. 시민사회역량 측정에 대한 선행연구
2. 선행연구에 근거한 시민사회역량의 영역과 개념 도출
제2절 시민사회 역량의 경험적 탐구
1. 역량분석을 위한 현장조사 설계
2. 시민사회 역량의 분석
제6장 현행 정책지원체계 및 개선방안
제1절 시민사회의 문제해결 역량 강화를 위한 정부 정책 현황
1. 행정안전부 주관 정책
2. 고용노동부 주관 정책
3. 기획재정부 주관 정책
4. 국토교통부 주관 정책
5. 국무조정실 주관 정책
6. 서울특별시 주관 정책
제2절 정부의 시민사회 지원체계에 대한 평가
1. 시민사회 역량에 대한 이론과 정책의 연결고리
2. 시민사회 지원정책과 현실의 간극
제3절 정책적 개선방안
1. 정책역량 강화 방안
2. 관리역량 강화 방안
3. 인프라역량 강화 방안
제7장 결 론
제1절 주요 연구결과
제2절 기대효과
제3절 시민주도 문제해결 정착을 위한 제언
1. 사회혁신기업가형과 민관협치형의 결합
2. 행정과 시민사회 간 신뢰 구축
-
이전글 [경제인문사회연구회]시민사회발전과 공익활동 증진을 위한 국가 기본계획 실천방안 연구(2021)
23.11.16 -
다음글 [경제인문사회연구회]지방정부의 시민사회정책 및 시민사회 공익활동 지원사업 현황조사(2022)
23.1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