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 차 -
제1장 연구개요 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3
1. 연구의 배경 3
2. 연구의 목적 4
제2절 연구의 주요 내용 및 방법 5
1. 연구의 주요 내용 5
2. 주요 연구 방법 6
제2장 개념 및 주요 현황 9
제1절 공익활동의 의의 11
1. 공익활동의 이론 및 제도 11
2. 공익활동 단체 현황 16
제2절 경기도 공공기관 공익활동 현황 분석 20
1. 경기도 공공공기관 ESG 경영현황 20
2. 경기도 공공기관 ESG 담당자 인식조사 43
3. 소결 47
제3장 공익활동 평가의 현황 및 시사점 49
제1절 공익활동 평가 재정립 논리 51
1. 공공평가 개요 51
2. 공익활동에 대한 평가 재정립의 논리 전개 52
제2절 공공영역 성과관리의 필요성 54
1. 공공영역 성과관리의 이해 54
2. 성과평가 체계 및 유형 58
제3절 평가 모델 사례 검토 64
1. 기존 평가 모델 64
2. 대안 모델 68
3. 참고 사례 73
제4절 공익활동 평가모델 제안 76
1. 평가지표 79
2. 사례 적용 82
3. 소결 99
제4장 지역재단의 현황 및 시사점 101
제1절 지역재단의 의의 및 현황 103
1. 지역재단의 이론 및 제도 103
2. 국내 지역재단 현황 107
제2절 국내 주요 사례 112
1. 국내 주요 지역재단 개요 112
2. 천안풀뿌리희망재단 114
3. 부천희망재단 117
4. 소결 119
제3절 해외 사례 연구 120
1. 클리블랜드 CDC(Community Development Corporation)와 클리블랜드 재단(Cleveland Foundaetion) 120
2. Lucie and André Chagnon Foundation 128
3. 영국의 지역재단 네트워크(UK Community Foundations) 130
제4절 지속가능한 지역재단 설립을 위한 전략 134
1. 지역재단 모형 134
2. 지속가능한 지역재단을 위한 전략 방향 137
제5장 정책수요 조사 153
제1절 경기도 공익활동 정책 수요 분석 155
1. 경기도 공익활동 정책 수요 분석 155
2. 일반도민 분석 결과 158
3. 공익활동가 분석 결과 171
4. 일반도민과 공익활동 참여자 간 비교분석 191
5. 시사점 196
제2절 공익활동 관련 전문가 인식 조사 200
1. 분석개요 200
2. 분석결과 201
제6장 정책제안 213
제1절 연구의 주요 내용 215
제2절 시민참여 기반 확대를 위한 공익활동 DB 구축 218
1. 제안의 배경 및 주요내용 218
2. 운영기제 218
3. 운영원칙 및 세부사업 제안 220
제3절 민간 중심의 경기도 지역재단 설립 222
1. 제안의 배경 및 주요내용 222
2. 운영기제 222
3. 향후 발전방안 224
4. 경기도 공익활동 사회경제기반 조성방안 연구 FGI 질의서 229
5. ‘경기도 공익활동 활성화’를 위한 활동가 인식조사 231
6. ‘경기도 공익활동 활성화’를 위한 도민 인식조사 239
참고문헌 227
부록 229
-
이전글 [사단법인 시민] 한국 시민사회 관련 법제도 현황, 쟁점과 과제
23.11.24 -
다음글 [서울연구원]일상에서의 제로 웨이스트 참여 확대 방안 연구(2021)
23.1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