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년 주한미군은 SOPA협정 개정에서 신설된 환경조항에 따라 국내법(한국법)을 존중하고 한국내 환경보존 노력을 기울일 것을 합의하였으며, 2003년 양국은 오염자부담원칙을 따르고 주둔국의 환경과 국민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로 <반환기지 치유에 관한 합의서>를 통해 반환된 미군기지의 오염은 미군 측이 정화하기로 하였음.
그러나 미군은 2005년 반환된 15개 미군기지(경기도 파주의 보니파스, 리버티벨, 그리브스, 자이언트, 하우즈, 스탠턴, 자유의 다리, 찰리블록, 의정부의 라과디아, 동두천의 님블, 하남의 콜번 등)에 대한 정화책임을 회피하고, 2006년에는 환경오염의 핵심인 토양오염 정화를 뺀 정화계획을 발표하며 일방적으로 한국정부에 반환기지를 떠넘김.
이에 2005년 3월 결성된 경기북부지역미군기지문제해결범시민대책위원회는 녹색연합, 환경연합, 매향리평화마을건립추진위원회 등 총 26개 시민단체와 함께 반환미군기지 환경정화 원점에서 재협상 촉구, 미군에 오염기지 원상복구 및 환경정화책임 등을 요구하고, 미군공여지를 무상으로 지역에 이양할 것을 촉구함.
또한 경기북부평화연대, 희망찬파주연대, 반환미군기지문제해결 홀링워터전면공원화의정부시민운동본부 등과 함께 반환된 의정부 캠프 에드워드 및 카일의 오염실태를 지적 고발하는 등 환경오염해결 대책마련을 위해 활동함.
2007년부터 국방부는 전국지자체의 희망에 따라 반환기지 12곳의 환경오염실태를 지역시민, 단체, 국회의원 등에게 직접 공개하고 2008년부터 100억 원 규모의 환경정화사업을 시행하고자 민간 전문업체 선정 및 환경시설 점검과 기지 경계지역 환경순찰 등을 담당할 환경대대 신설 등 본격적인 정화활동에 들어감. 2008년 국방부와 한국농촌공사는 반환된 하남의 콜번기지를 2년 간 정화작업 후 매각처분한다는 계획을 발표하고 한국환경공단에서 환경정화사업을 시행하기도 함.